본문 바로가기

생활STORY

사설구급차 요금부터 이용방법, 119 구급차와 비교해보면?

오늘은 사설구급차 요금과 이용방법, 그리고 119구급차와의 차이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.

 

 

119 구급차  VS  사설구급차

1. 119 구급차

위급상황 시 연락할 때 오는 구급차입니다. 국가로부터 운영하기 때문에 요금이 따로 청구되지는 않으며, 응급처치까지 도와줍니다. 하지만 허위신고의 경우 과태료 500만 원이 부가될 수 있습니다.

 

2. 사설구급차

사설구급차는 보통 비응급시, 즉 거동이 불편할 때 외래 진료나 이동을 위해 사용되곤 합니다. 응급환자이송업 허가를 받은 민간 업체 구급차로, 정해진 기준에 따라 비용이 발생합니다.

 

 

사설구급차 요금

사설구급차 요금은 기본료에 추가수당이 더해진 금액이며, 00시부터 04시까지는 할증요금으로 20%가 추가로 부가됩니다.

 

사설구급차도 일반구급차와 특수구급차로 나뉘며, 이에 따라 요금도 다르게 측정됩니다. 일반구급차는 기본적인 응급의료 장비만 구비되어 있습니다. 반면에 특수구급차는 여러가지 응급의료 장비가 구비되어 있으며, 응급환자를 이송시킬 때 사용되어 의사, 간호사 혹은 응급구조자도 함께 동승합니다.

 

1. 사설구급차 - 일반구급차

구급차 차량 측면에 초록색 띠가 보인다면 이는 일반구급차입니다. 

만약 응급구조자의 동승을 원할 경우 15,000원의 요금이 부가됩니다.

- 기본료 : 10km 기준으로 30,000원

- 추가수당 : 1km 기준으로 1,000원

 

2. 사설구급차 - 특수구급차

구급차 차량 측면에 빨간색 띠가 보인다면 특수구급차라는 뜻입니다.

- 기본료 : 10km 기준으로 75,000원

- 추가수당 : 1km 기준으로 1,300원

 

 

사설구급차 이용방법

1. 사설구급차 접수하기

사설구급차 부르는 법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으며, 미리 예약하면 더욱 좋습니다.

 

첫 번째는 방문할 병원으로부터 전화번호를 안내받는 것이며, 관련해서는 병원이 이미 많이 해봤고 잘 알기 때문에 가장 편리한 방법입니다.

두 번째는 응급의료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가장 가까운 곳의 구급차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.

 

2. 확인하기

탑승 인원과 응급구조사가 필요한지 등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3. 청구하기

보통 사설구급차는 미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며, 현금/신용카드 모두 가능합니다. 요청 시 영수증까지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.

 

오늘은 사설구급차 요금과 이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사설구급차는 24시간 접수가 가능하다고 하니, 필요할 경우를 대비해 미리 알고 있으면 유익한 정보가 될 것 같습니다.